git branch(5)
-
2차스터디 - 프로젝트 초기세팅 및 라이브러리 설치
github나 gitlab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법은 이미 정리한 적도 있고, 수업시간에도 들은 적이 있어서 알고 있었다. 근데, 문제가 생겼다! 내 pc에는 프로젝트 폴더를 만들고, CRA까지 설치해 놓았지만! 정작 github에 생성해 놓은 프로젝트에는 파일이 0 이였다... 그래서 기능을 찾아보니 add file이 있길래 봤더니 파일들을 하나하나 추가해 주는 기능이라서 다른 방법을 찾아보았다. (git hub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건너뛰겠다. 2023.11.01 - [Devlog] - 프로젝트의 첫 단계 Gitlab 사용하여 - git clone 하기 이전글에서 정리해 놓았다:) 1. 일단 github에서 프로젝트의 http주소를 복사해 온다. 2.local 파일과 프로젝트를 연결하기 ★..
2023.11.26 -
React에 대해 공부하기-3 state,useState
리액트를 사용해보면서, 공부하면서 궁금한 했던 부분이 props,state,가상돔코드,map함수 적용하기 등등이 있었다. 그중에 오늘은 공부하면서 알게된 state에대해 정리해보려고한다. State 란? UI에 변경되는것이 반영되고, 컴포넌트 함수가 다시 실행되어 UI가 다시 그려져도(리렌더링) 데이터가 유지되는값 이라고 한다. const [상태, 상태설정하는 함수] = useState(초기값) state는 이런식으로 사용한다. -상태를 설정하는 함수를 보통 "set+상태명"으로 변수명을 작성한다. -상태 업데이트 함수를 호출하면 컴포넌트는 해당 상태의 변경을 감지하고 리렌더링 한다. 여기서 use- 는 react에서 hook 훅함수 또는 훅이라고 불리고, function 키워드나 화살표 함수로서 선언된..
2023.11.19 -
React에 대해 공부하기-2 CRA로 리액트 만들기!
오늘은 실습교육시간에 배운 CRA에 대해 정리하고 프로젝트 초기 세팅을 해보려고 한다! CRA란? Create React App : Set up a modern web app by running one command. [출처 : React 공식 문서] CRA란 리액트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기본 개발 환경설정을 간편하게 해 줄 수 있는 방법이다. CRA를 사용하면 바벨, 웹팩 등 복잡한 설정들을 세팅해 주고 필요한 기본 패키지등을 설치해주기 때문에 매우 간편하게 리액트를 사용할 게 있게 해 준다! 일단 프로젝트를 생성할 폴더를 설정하고 터미널을 열어 npx create-react-app "프로젝트명" 을 입력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중간에 y를 눌러주면 계속 진행된다.) 근데 나는 설치도중 오류가 발생해서..
2023.11.19 -
React에 대해 공부하기-1(1차프로젝트 짧은 회고)
어찌어찌 1차 프로젝트가 끝이 났다.... 후회도 많이 남고, 아쉬움도 많이 남는 거 같다. 개인적으로 가장 큰 아쉬움은 아무래도 계획한 기능을 구현하지 못한 것이 아닐까 싶다. 처음 계획한 기능 중 로그인 성공 시 일반유저의 헤더 변경, admin계정의 헤더 변경 기능을 끝내 구현하지 못하고 프로젝트 제출을 하고 말았다.... 이 과정에서 나는 내가 쏟은 시간과 기능구현율은 반드시 비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너무 아쉬웠고, 제출하는 순간에도 팀원들에게 미안한 마음이 많았다. 나의 프로젝트 과정을 돌이켜보니, 나의 실수를 알 것 같았다. 처음 계획한 핵심기능구현을 첫째 목표로 설정하고, 이행할 것! css 또는 자잘한 기능구현은 나중일 인 것 같다. 결국 앞 글에서 기술한 2023.11.08 ..
2023.11.19 -
프로젝트의 첫단계 Gitlab 사용하여 - git clone 하기
프로젝트에 앞서 git lab을 사용하는 특강을 들었다. 협업에서의 필수 과정이라고 할수있다. 사실 이 두 가지가 대표적인데 전까지는 git hub만 써왔는데 이번엔 git lab을 이용하기로해서 사용하게 되었다. 일단 git lab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위와 같이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위 사진은 원래 있던 프로젝트를 가져온 거지만 동작방법은 같다. 오른쪽에 있는 클론버튼을 눌러 https복사하기를 누르면 된다. -git clone 이제 본격적으로 복사해 온 클론 https 주소를 사용하여 내 local repository로 가져와보자 Visual studio code를 실행하고, 터미널을 실행하여 **중요한 부분- 터미널에서 바로 명령어를 실행하면 오류가 날것이다. 왜냐면 wind..
2023.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