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스터디 - 프로젝트 초기세팅 및 라이브러리 설치

2023. 11. 26. 21:49Devlog

 

 

github나 gitlab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법은 이미 정리한 적도 있고, 수업시간에도 들은 적이 있어서 알고 있었다.

근데, 문제가 생겼다!

내 pc에는 프로젝트 폴더를 만들고, CRA까지 설치해 놓았지만!
정작 github에 생성해 놓은 프로젝트에는 파일이 0 이였다...
그래서 기능을 찾아보니 add file이 있길래 봤더니 파일들을 하나하나 추가해 주는 기능이라서 다른 방법을 찾아보았다.

 

 

 

(git hub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건너뛰겠다. 2023.11.01 - [Devlog] - 프로젝트의 첫 단계 Gitlab 사용하여 - git clone 하기 이전글에서 정리해 놓았다:)

1. 일단 github에서 프로젝트의 http주소를 복사해 온다.

 

 

 

2.local 파일과 프로젝트를 연결하기 ★ ★ ★ ★ ★-몰랐던 부분

 

본인이 만든 폴더 오른쪽 마우스 클릭을 하면 이렇게 뜹니다.
여기서 Open Git Bash here클릭합니다.
(Git bash가 설치되어있어야 뜹니다!)

 

3. git init

 

명령창에

git init

입력하여 저장소를 초기화해 준다!

 

$ git init
Initialized empty Git repository in (프로젝트폴더위치)

라고 출력된다면 정상적으로 초기화 된것이다.

4.git status

git status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파일 상태(add, commit 상태창이 뜹니다.)

 

 

5.git add/commit

git add .

git add 명령어로 파일을 staging상태에 올려둔 뒤,

 

git commit -m "커밋메세지"

commit 해준다.

 

 

6.git remote add origin

git remote add origin 복사한주소

명령어를 입력해 레파지토리와 파일을 연결해 준다

(여기서 복사한주소는 위 git hub에서 복사한주소이다.)
ex]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Minzoo1/RFLIX.git

이런식으로 입력하면 연결된다.

 

7.git push

git push origin master

그 후 git push명령어로 push 해준다

 

 

8.git hub새로고침

 

모든 과정을 마치고 git hub창을 새로고침 하면 

성공적으로 프로젝트파일이 올라간 걸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은 라이브러리 설치에 대해 정리해 보겠다.

 

 

 

 #엘리스트랙 #엘리스트랙후기 #리액트네이티브강좌 #온라인코딩부트캠프 #온라인코딩학원 #프론트엔드학원 #개발자국비지원 #개발자부트캠프 #국비지원부트캠프 #프론트엔드국비지원 #React #Styledcomponent #React Router Dom #Redux #Typescript #Javascript

반응형